잔디 잡초방제

골프장의 주요잡초

골프장잔디박사 2006. 5. 30. 10:02

 골프장의 주요잡초



골프장/잔디/조경 직무교육 / www.kkugk.com / KU골프장잔디

골프장, 경기장, 축구장, 야구장, 학교운동장, 전원주택, 정원 및 조경지 잔디 시공관리 직무교육
(프로)그린키퍼, 코스·잔디 명장, 헤드그린키퍼, 코스관리팀장, 경기운영팀장, 캐디마스터, 본부장 및 사장 등 인재양성


 

 

골프장에 발생하는 잡초는 새포아풀이 가장 많고, 다음에 바랭이, 클로버, 왕바랭이, 피막이 등이다. 골프코스에 발생하는 잡초를 계절별로 분류해 보면 표 8-31과 같다. 봄 잡초는 잔디가 움트기 전후인 3~4월에, 여름잡초는 5~7월에 발생하고, 가을 및 겨울잡초는 보통 9~10월에 발생한다.

 


① 새포아풀 (Poa annua L. : Annual bluegrass)

벼목 벼과에 속하는 식물로 발생시기는 8월에서 9월에 시작하여 10월에 많이 발생한다. 가을에 발생한 새포아풀은 이듬해 5~6월에 꽃이 피며 종자의 임실 기간이 매우 길다(그림 8-35). 그러나 휴면기간은  짧다. 호습성 잡초로 답압이 심한 토양이나 습한 토양에 잘 발생한다. 낮은 깎기에 잘 견디며, 답압과 고온에 약하다. 벤트그래스나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비슷하나 엽설이 뾰족한 점이 다르다.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골프장에 발생하면 전파속도가 빠르고 여름철 잔디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손 제초가 매우 곤란하며 봄, 가을 토양처리제를 살포하여 예방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좋다. 

 

 

② 바랭이 (Digitaria spp. : Crabgrass)

여름철 잔디밭에 가장 문제되는 잡초이다. 생활력, 번식력이 강하여 재배적 방법으로 방제하기가 매우 어려운 잡초이다. 호광성 잡초로서 빛과 습도가 적당하면 늦여름까지 발생하나, 일반적으로 3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4~6월에 많이 발생하며 8월의 발생량은 매우 적다. 잔디밀도를 높게 유지하면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③ 왕바랭이 (Eleusine indica L. : Goosegrass)

바랭이가 발아하고 2~3주 후에 지온이 상승한 다음에 발생한다. 포복 생장형 잡초여서 낮은 깎기에도 매우 잘 견디며 내답압성이 강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 잘 자란다. 토양처리제와 경엽처리제로 방제할 수 있으나 발생초기에 방제하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④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 White clover)


다년생 콩과식물로 종자와 포복경으로 번식하며 마디마다 뿌리가 내린다. 잔디밭을 조성하면 비교적 빨리 침입하는 잡초이다. 깎기 및 답압에 강하며 계절에 따라 성장의 완급은 보이지만 지속적인 생육을 보인다. 질소질 성분이 적은 토양에서 발생이 많으며, 경엽처리제인 MCPP가 유효하다.

 

⑤ 피막이 (Hydrocotyle ramiflora Maxim.)


종자와 포복경으로 번식하며 습지에 많이 발생한다. 경엽이 부드러워 경엽처리제 살포시 제초제가 잎에 쉽게 부착 및 흡수된다. 또한 뿌리는 천근성으로 토양에 떨어진 경엽처리를 쉽게 흡수하여 방제가 용이하다. 종자발아는 토양처리제로 방제되며, 유식물은 경엽처리제로 쉽게 방제된다.

 

⑥ 일년생 방동사니과 잡초 (Cyperus spp.)


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알방동사니 등이 주로 발생하며 포기를 형성한다. 과습한 토양에서는 혼생하는 경우가 많다. 

 

⑦ 다년생 방동사니과 잡초 (Cyperus spp.)


파대가리, 향부자가 있으나 제주지방을 제외하면 주로 파대가리가 발생된다. 향부자는 종자 및 괴경, 파대가리는 종자 및 지하경에 의해 번식한다. 잔디와 유사한 포복형 초형으로 낮은 깎기에도 영양기관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경엽의 재생이 빠르며, 매트를 형성한다.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배수를 개선한다. 발생시 경엽처리제 살포한다.

 

⑧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L. : Dandelion) 

종자로 발아, 생장하여 해마다 대형화하고 근경도 비대하게 된다. 낮은 깎기에도 기부와 하위엽은 살아남아 로젯트화 한다. 개화 전에 깎기 하여 종자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자가 발아하여 생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양처리제를 살포하며, 발아 후 유식물은 경엽 겸 토양처리제로 방제한다.

 

⑨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in.: Prostrate spurge)


건조한 토양을 좋아하며 잔디밀도가 떨어진 곳이나 맨땅화 된 곳에 발생한다. 이른 봄에 발생한 것은 생장이 느리다. 여름에 많이 발생하고 단기간에 생장하여 20~30일 사이에 대형화된다. 뿌리가 직근이고 줄기는 몇 개로 분지하여 지표면에서 신장하기 때문에 제초제로 방제하기 용이하다.

 

⑩ 별꽃 (Stellaria media Villars : Common chickweed)


줄기는 기부에서 분지되며 지면을 접한 부분은 뿌리가 나온다. 별꽃은 군집을 이루어 매트를 형성하는 월년생이다. 가을에 많이 발생하지만 봄에도 발생한다. 가을에 발생한 것은 생육속도가 느리며 이듬해 봄에 월동한 별꽃이 대형화한다. 별꽃은 발아하는 토양 심도가 얕아 토양처리제로만으로 제초효과가 높다. 생육기에는 호르몬형 제초제가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