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용 잔디·시공

옥상녹화의 효과

골프장잔디박사 2007. 1. 15. 16:14

옥상녹화의 효과



골프장/잔디/조경 직무교육 / www.kkugk.com / KU골프장잔디

골프장, 경기장, 축구장, 야구장, 학교운동장, 전원주택, 정원 및 조경지 잔디 시공관리 직무교육
(프로)그린키퍼, 코스·잔디 명장, 헤드그린키퍼, 코스관리팀장, 경기운영팀장, 캐디마스터, 본부장 및 사장 등 인재양성



 

 ① 토양 생태계 복원


   : 도시의 인구집중과 그에 따른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는 도심 내 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사라지게 만들었으며 점차 녹지는 건축물로부터 밀려나 그 자리를 잃어 버렸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도시생태계와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작은 면적의 녹지라도 조금씩 화곱해 나가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처럼 옥상녹화는 지상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녹지 량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② 건축물 냉난방 에너지 절약 효과


  : 옥상 녹화는 기존의 비 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 온도가 전달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축물 냉방 에너지 절약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 여름철 : 주간 시간대의 외기 온도 보다, 옥상녹화시스템은 8도 정도 낮은 온도 분포를 보이고, 콘크리트 표면은 15도 정도 높은 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 이같은 현상은 토양층 상부에 위치한 식생층의 반사를 포함한 일사 차단효과와 식생부분의 증발산 작용에 의한 잠열효과 및 토양층이 지닌 물리적인 단열 성능이 복합되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예) 겨울철 : 콘크리트는 1일간 영하이하 지속시간 17시간
                   옥상녹화는 1일간 영하이하 지속시간 0시간

 

 ③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 시의 온난화 사막화는 도시 내 포장을 도로율의 증가로 인해 더욱도 가중되고 있다.

     -->지표면에서 더워진 공기 상승 --> 대기권 내에 온난 기류를 형성--> 도시 열섬현상
 

 : 하절기인 경우 야간에도 대기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 현상 등을 흔히 볼 수 있다.
   한여름 포장지역의 온도는 55도에 달한다.

   --> 실제로 도시 내에서의 여름의 지표면온도를 열화상으로 분석하면 녹지피복 지역은 포장지역에 비해 온도가 현저하게 낮으며, 일교차 또한 녹지지역이 낮다.

   --> 녹지에 따른 일사의 반사 및 증발산 작용이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④ 도시 홍수예방


  :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표면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의 불투수성 재료로 포장되어 지하 침투수량이 감소하고, 반면 하수도로 직접 유입되는 유수량의 증가로 도시 내 자연순환계에 심각한 불균형이 초래되는 등 우수 유출량의 증가로 도시홍수와 같은 큰 재해가 발생된다.
  : 옥상녹화는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조절하는 생태적인 기능과 에너지 절감이라는 직ㆍ간접적인 효과와 함께 건물의 고밀도와 불투수성 면적의 증가라는 당면과제에 대하여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지붕은 우수 유출계수가 0.8 ~ 0.95 인 반면, 잔디와 수목은         0.05 ~ 0.25 인 관계로 우수유출 지연 효과가 크다.
  : 한국건설기술 연구원의 실험 결과 10cm 토심의 옥상녹화시스템은 토양층이 지닌 흡수능력과 증발량에 의하여 실제 강우량의 70% 내외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⑤ 대기정화


  : 옥상녹화는 이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벤젠, 분진등과 중금속을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 4m나무의 1년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약11.5kg, 성인 1인의 1년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약 60kg이므로, 4m나무 5~6그루면 1인분의 이산화탄소 처리가능
   - 질소화합물의 경구 4m 나무가 1년간 흡수하는 것은 약 108g으로 자동차가 1km주행시약 0.25kg을 배출하기 때문에 나무 1그루면 432km 주행분의 질소화합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⑥ 수질정화


  : 자동차 배기가스와 먼지로 인해 공기중의 더러운 미세한 분진이 쵝 우수에 섞여 빠른 속도로 유출될 경우, 하천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는데 옥상녹화는 이러한 초기 우수를 토양층을 통해 여과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수질오염 경감효과가 있다.
  : 소량의 비가 내릴 경우 녹화옥상에서는 빗물을 함유하여 다시 공중으로 증발시키므로 하나의 작은 물순화 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⑦ 소음경감 효과


  : 옥상녹상의 토양층은 소리파장을 흡수하여 분쇄시킴으로써 소음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존의 콘크리트 옥상은 소리파장을 그대로 반사시키지만 토양층은 소리파장이 표층에 도달하면 일단 내부로 흡음 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단파장이 장파장으로 변화되어 퍼지게 된다.

   --> 실제로 20cm의 토양층은 46dB정도의 소음경간 효과가 있음.

 

 ⑧ 도시경관 향상


  : 옥상녹화는 그 자체로서 건물 외관 향상 및 차폐, 가로경관의 향상등, 초록이 있는 새로운 공간을 창출한다. 또한 버려진 옥상을 휴식, 휴양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공간 창출이 가능해져 공간의 입체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해 진다.

 

 ⑨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 옥상녹화 토양층은 산성비와 자외선에 의한 방수층보호 및 콘크리트 노화 방지로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 녹화된 부분의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었지만, 노출부분은 완전히 중성화되었다.  즉, 구조물의 온도변화 영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옥상녹화 밑의 콘크리트면은 온도변화가 거의 없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